728x90
반응형
통계
-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나 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에 대한 요약된 형태의 표현
- 통계 자료의 획득 방법 : 총 조사(전수 조사), 표본조사
- 모집단(population) : 관심의 대상이 되는 모든 개체의 집합
- 표본(sample) : 모집단에서 실제로 뽑은 개체의 집합
- 모수(parameter) : 모집단에 대한 정보
예) 대학생의 음주율를 조사한다면
모집단 = 대학생 전체
표본 = 대학생 남녀 100명 - 대학생 전체를 조사하기는 매우 힘드니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
모수 = 모집단은 모두 몇 명인지, 표준편차 등등
표본 추출 방법(4가지)
① 단순랜덤추출법(simple random sampling)
- N개의 원소로 구성된 모집단에서 n개의 표본을 추출할 때 각 원소에 1, 2, 3,..., N까지의 번호를 부여, n개의
번호를 임의로 선택해 그 번호에 해당하는 원소를 표본 추출(복원/비복원 방법)
② 계통추출법(systematic sampling)
- 모집단의 모든 원소들에게 1, 2, 3, ..., N의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순서대로 나열한 후에 K개(K=N/n)씩
n개의 구간으로 나눈다. 첫 구간(1, 2, 3, ..., K)에서 하나의 임의로 선택한 후 K개씩 띄어서 표본을 추출한다.
③ 집락추출법(cluster sampling)
- 모집단이 몇 개의 집락(cluster)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돼 있고, 각 집단에서 원소들에게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
있는 경우에 이용된다.
일부 집락을 랜덤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각 집락에서 표본을 임의로 선택한다.
④ 층화추출법(stratified sampling)
- 상당히 이질적인 원소들로 구성된 모집단에서 각 계층을 고루 대표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. 이질적
인 모집단의 원소들을 서로 유사한 것끼리 몇 개의 층(stratum)으로 나눈 후, 각 층에서 표본을 랜덤 하게 추
출한다.
*모집단의 개수는 대문자 N 표본의 개수는 소문자 n으로 일반적으로 표기한다.
자료의 종류(측정 방법) 4가지
데이터 척도의 구분
출처 : 2020 전면 개정판 ADsP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DATAEDU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