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히스토그램
- 히스토그램(histogram)은 외관상 막대그래프와 비슷한 그래프로, 연속형 자료의 분포를 시각화할 때 사용
- 막대그래프를 그리려면 값이 종류별로 개수를 셀 수 있어야 하는데, 키와 몸무게 등의 자료는 값의 종류라는 개념이 없어서 종류별로 개수를 셀 수 없음
- 대신에 연속형 자료에서는 구간을 나누고 구간에 속하는 값들의 개수를 세는 방법을 사용
더보기
# 히스토그램
dist <- cars[,2] # 자동차 제동거리
hist(dist, main = "Histogram for 제동거리", # 자료(data)와 제목
xlab = "제동거리", ylab = "빈도수", #x 축 레이블, y축 레이블
border = "Light Coral", col = "Corn Silk", # 막대 테두리색, 막대 색
las = 2, breaks = 5) # x축 글씨 방향(0~3), 막대 개수 조절
* hist()함수에서 매개변수 las는 x축 (0,20,40,60,80,100,120)의 출력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.
* breaks는 구간을 몇 개로 나눌지(막대의 개수)
출처 : 모두를 위한 R 데이터 분석 입문 한빛아카데미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