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튜플(tuple)은 리스트와 같은 개념이지만,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는 자료구조다.
더보기
t = (1,2,3) # 튜플의 선언은 () , 리스트는 대괄호[]
print(t+t, t*2)
print(len(t))
리스트에서 사용하는 연산, 인덱싱, 슬라이싱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.
위의 코드처럼 튜플 간의 덧셈, 곱셈, len()과 같은 리스트형 데이터에 사용하는 함수 모두 사용가능
** 튜플과 리스트이 유일하면서도 큰 차이점이 있다면, 튜플의 값은 마음대로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다.
만약 튜플의 값을 변경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.
더보기
t[1] = 5
튜플은 언제 사용하는가?
-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자신이 하나의 함수만 만들고, 다른 사람이 그 함수의 결과값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. 이때 반환해 주는 타입을 튜플로 선언하여 받아서 사용하는 사람이 마음대로 데이터를 바꾸지 못하게 할 수 있다.
예) 학번이나 이름,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변경되지 않아야 하는 정보 등이 있다.
프로그래머가 이러한 이해 없이 마음대로 값을 변경하려고 할 때, 튜플은 이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