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토폴로지

  •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의 위치나 컴퓨터 간의 케이블 연결 등의 물리적인 배치

 

버스(Bus)방식

  • 버스라 불리는 공통배선을 모든 노드가 공유
  • 근거리 통신망(LAN)의 일반적 방식
  • 케이블링에 소요되는 비용의 최소화
  • 특정 노드의 따라 네트워크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. - 브로드 캐스팅 방식

 

[그림1] 버스 방식

 

장점

  • 네트워크 구성이 간단, 작은 네트워크에 유용, 사용이 용이하다.
  • 관리가 용이하고 새로운 노드의 추가가 용이하다.

단점

  • 통신 채널이 단 한 개이므로 고장시 네트워크 전체가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잉여 채널이 필요하다.
  •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을 경우 네트워크 효율이 떨어진다.
  • 브로드캐스등으로 인한 잦은 컴퓨터 인터럽트로 호스트의 성능을 떨어뜨리고 네트워크 대역폭을 낭비할 수 있다.

 

 

 

링(Ring)방식

  • 데이터의 흐름이 한방향
  • 수신된 데이터가 자신의 것이면 네트워크에서 삭제
  • 그렇지 않은 경우 인접 노드로 데이터를 중계
  • 만일 다른 호스트가 수신을 하지 못한 경우, 송신자는 해당 데이터를 제거해야 한다.

 

[그림2] 링 방식

 

장점

  • 병목 현상이 드물다.
  • 분산 제어와 검사, 회복 등이 쉽다.

단점

  • 새로운 네트워크에 대한 확장이나 구조의 변경이 비교적 어렵다.
  • 네트워크상의 어떤 노드라도 문제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전체가 통신 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.
  • 다중 링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

 

스타형(Star)방식

  • 중앙 제어 노드가 통신상의 제어에 대한 권환과 책임
  • 분산 처리 능력이 제한

[그림3] 스타형 방식

장점

  • 고장의 발견과 수리가 쉽고, 노드의 증설, 이전이 쉽다.

단점

  • 잠재적 병목성을 가지며 중앙 지역 고장에 취약하다.
  • 중앙 제어 노드에 문제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전체가 통신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.

 

 

트리(Tree)방식

  • 다수의 버스 방식을 허브(스위치)를 이용해 트리처럼 연결한다.
  • 제어와 오류 해결을 각각의 허브에서 수행한다.
  • 허브로 구성되는 경우와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다르게 동작한다.

[그림4] 트리 방식

장점

  • 제어가 간단하며 관리 및 확장이 용이하다.

단점

  • 중앙 지점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.
  • 중앙 지점의 고장 발생시 대체 방법이 없을 경우 네트워크가 마비 또는 분할될 수 있다.

 

 

매쉬(Mesh)방식

  • 중앙의 제어 노드에 의한 중계 대신에 각 노드간 점대점 방식으로 직접 연결
  • 완전 그물형(full mesh)과 부분 그물형(partial mesh)으로 나뉜다.
  • 장애발생시 대체경로로 전달 가능하다.
  • 링형과 더불어 네트워크 백본을 구성하는 방식

[그림5] 매쉬방식

 

장점

  • 고장의 발견이 쉽다.
  • 한 노드의 고장시 네트워크의 다른 트래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.

단점

  • 선로 구축 비요잉 많이 든다.
  • 선로 설치 및 설정 과정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고 어렵다.

 

728x90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